윈도우XP의 숨겨진 기능 60가지

IT 정보/Computer | 2013. 8. 28. 11:58
Posted by zephiros8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윈도우XP의 숨겨진 기능 60가지]


1. 여러 파일 이름을 한꺼번에 바꾸자

윈도우즈 XP는 여러 개의 파일 이름을 한꺼번에 바꾸는 재주가 있다.파일 형식이 서로 달라도 같은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이름을 바꿀 파일을 모두 고르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 ‘이름 바꾸기’를 고른다. 

윈도우즈 XP에서 여러 개의 파일 이름을 바꿀 때는 첫 번째 파일에 이름만 쓴다. 예를 들어 ‘PC사랑’이라고 하면 첫 번째 파일은 ‘PC사랑’이 되고 나머지 파일들은 ‘PC사랑 (1)’ ‘PC사랑 (2)’ 등으로 바뀐다. 만약 첫 번째 파일 이름을 ‘PC사랑 (10)’이라고 하면 그 다음부터는 ‘PC사랑 (11)’ ‘PC사랑 (12)’이 된다.


2. 갑자기 재 부팅 되는 윈도우즈 XP 때려잡기

윈도우즈 XP는 너무 민감한(?) 나머지 프로그램에 조그만 오류가 생기면 저절로 재 부팅 된다. 물론 그 오류가 심각할 때도 있지만 별 문제가 되지 않는 데도 PC를 재 부팅해서 이용자를 귀찮게 한다. 프로그램에 오류가 있어도 시스템이 재 부팅 되지 않게 해보자.

바탕화면의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고른 다음 ‘시스템 등록정보’ 창의 ‘고급’ 탭에서 ‘시작 및 복구’ 칸의 ‘설정’ 버튼을 누른다. 

‘시스템 오류’ 칸에 있는 ‘자동으로 다시 시작’의 체크 표시를 없애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이제 윈도우즈 XP가 제멋대로 꺼지지 않는다. 

 

3. 오류 보고 창 나타나지 않게 하기

윈도우즈 XP부터는 프로그램들이 에러를 일으켰을 때 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마이크로소프트사로 보고한다. 이런 오류를 매번 보고하는 것도 지겹고, 보고해도 해결되지 않으므로 오류 보고 창이 뜨지 않게 해보자. 

시작 → 제어판 → 성능 및 유지 관리 → 시스템으로 간 뒤 시스템 등록정보 창이 뜨면 ‘고급’ 탭에서 아래에 있는 ‘오류 보고’ 단추를 누른다. 오류 보고 대화 상자에서 ‘오류 보고 사용 안 함’을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4. 성인광고 나가 있어~

성인광고 사이트도 아닌데 자꾸 성인광고가 뜬다. 한두 개 정도야 바로 닫아버리면 그만이지만 여러 개의 창이 마구 쏟아져 나오면 윈도우즈 XP가 먹통이 되기도 한다. 성인광고를 막아주는 프로그램이 있지만, 괜히 하드디스크 용량만 차지하므로 윈도우즈 XP 자체에서 해결하자. 

인터넷 익스플로러 메뉴에서 도구 → 인터넷 옵션을 고른 다음 ‘일반’ 탭의 임시 인터넷 파일 항목에 있는 ‘설정’ 단추를 누른다. ‘설정’ 창이 뜨면 ‘개체보기’를 누른다. 

탐색기가 뜨면서 파일 이름이 나온다. 이 중에서 sender control이라는 파일을 찾아서 지우면 성인광고 사이트가 뜨지 않는다. 

‘개체보기’를 누르면 내 PC에 깔려있는 개체들이 보인다. 

 

5. 내 컴퓨터에서 ‘공유 문서’ 없애기

윈도우즈 XP에는 여러 이용자가 같이 쓸 수 있는 공유 문서가 있다. 공유 문서에는 공유 그림, 공유 음악이 있는데 집에서 혼자 쓰는 사람에게는 필요 없다. 용량만 차지하는 공유 문서를 지워보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띄운 다음,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MyComputer\NameSpace\DelegateFolders에 있는

{59031a47-3f72-44a7-89c5-5595fe6b30ee}를 찾아 지운다.

 이 레지스트리를 지우면 공유 문서가 보이지 않는다. 

 

6. ‘시작’에서 문서메뉴 지우기

문서 메뉴가 있으면 작업 했던 문서를 쉽게 불러올 수 있지만, 길게 늘어져 있어 지저분하다. 문서 메뉴를 잘 쓰지 않는다면 깔끔하게 지우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 오른쪽에 마우스를 놓고 새로 만들기 → DWORD 값을 고른 뒤,

‘새 값’의 이름을 NoRecentDocsMenu 라고 바꾼 뒤 마우스로 두 번 눌러 값 ‘1’을 넣는다.

 문서 메뉴가 없어졌다. 메뉴가 한결 깔끔해 보인다. 

 

7. 바탕화면에 내 컴퓨터 불러오기

윈도우즈 XP를 깔고 나면 바탕화면에 휴지통만 보인다. 윈도우즈 98처럼 바탕화면에 기본 아이콘이 보이게 하려면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른 뒤 → 속성 → 바탕화면 → 바탕화면 사용자지정을 차례로 누르고 ‘내 바탕화면에 아이콘’에서 골라 누르면 된다

 

8. 휴지통을 변기통으로 바꾸자

다른 아이콘들은 이름을 바꿀 수 있지만, 휴지통은 ‘이름 바꾸기’가 없다. 하지만 PC사랑 사전에 불가능이 있던가? 휴지통 변기통으로 변신시키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LASSES_ROOT\CLSID\{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ShellFolder의 오른쪽 창에 있는 attributes 키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른 뒤 ‘수정’을 고른다. ‘바이너리 값 편집’ 창의 ‘값의 데이터’ 칸에서 40 01 00 20 대신 70 01 00 20을 집어넣는다. CallForAttributes=dword:00000040 의 값만 지우자. 

재 부팅하고 휴지통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이름 바꾸기’가 생긴다. 

 

9. 입력 도구 모음 없애기

윈도우즈 XP ‘서비스 팩이 깔려 있다면 입력 도구 모음을 간단히 닫을 수 있지만 서비스 팩이 없다면 이것을 지울 수 없다. 입력 도구 모음은 한자를 입력할 때 편하지만 게임을 자주 하는 이들에겐 눈에 거슬릴 뿐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는다. 입력 도구를 쓰지 않는다면 이 방법으로 입력도구를 날려버리자.

제어판 → 국가 및 언어 옵션 → 언어 → 자세히 → 설치된 서비스에서 ‘추가’를 눌러 영어를 새로 넣는다. 그 다음 한글 입력기(IME2002)를 고르고 기본 설정 → 입력 도구모음에서 모든 체크를 끄면 도구가 사라진다.

 

10. 로그 온 할 때 예쁜 메시지 띄우기

회사, 학교 등 네트워크에 연결된 PC를 켜면 ‘로그온’ 화면이 뜬다. 이 곳에 톡톡 튀는 예쁜 메시지를 넣어보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NT\CurrentVersion\Winlogon을 찾는다.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뜨는 ‘새로 만들기’ 메뉴에서 ‘문자열 값’을 고른 뒤, 문자열 이름을 LegalNoticeText 라고 써 넣고 엔터 키를 누른다. 이미 있는 파일이라면 새로 만들지 않아도 된다.

앞에서 만들어 놓은 문자열을 마우스로 두 번 누르면 ‘문자열 편집’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값 데이터’ 상자에 화면에 표시할 내용을 써 넣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같은 방법으로 LegalNoticeCaption 이라는 문자열 값을 만들고 ‘값 데이터’에 메시지 상자의 제목을 적은 뒤 ‘확인’ 버튼을 누른다. PC를 껐다 켜면 메시지 상자가 표시된다.


11. URL 입력은 단축 키로 간단히! 

PC사랑 홈페이지에서 지난달 기사를 찾아보고 싶을 때 주소 창에 www.ilovepc.co.kr을 모두 적지 않아도 된다. ilovepc만 쓰고 Ctrl+Enter 키를 누르면 http://www와 co.kr이 저절로 써진다.

.com로 끝나는지, co.kr이나 net으로 끝나는지 기억나지 않을 때 활용하면 편하다.

 

12. ‘드라이버가 맞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떠요!

윈도우즈 XP의 기본 드라이버를 쓰다가 부품 회사에서 만든 드라이버를 깔려고 하는데 ‘호환성 테스트에 통과하지 못했다’는 메시지가 종종 뜬다. MS가 테스트하지 않아 성능을 믿을 수 없다는 내용이다. 많은 드라이버가 테스트를 거치지 않았지만 쓰는 데는 이상이 없다. 그렇다면 이 메시지를 굳이 띄울 필요가 없다.

‘내 컴퓨터’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고른 다음, ‘하드웨어’ 탭에서 ‘드라이버 서명’을 누른다. 여기서 ‘무시’를 고르면 다시는 호환성 메시지가 뜨지 않는다.

 ‘무시’를 고르면 드라이버를 깔 때 호환성 여부를 묻지 않는다. 

 

13. 시스템 복원이 컴퓨터를 느려지게 한다?

‘시스템 복원’은 만일의 사고를 대비해 시스템 내용을 그대로 기억하는 것이다. 오류가 발생하면 사고가 나기 전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서다. 파일을 읽고, 쓰고, 지울 때마다 system volume information 폴더에 시스템 복원용 백업 파일이 저장된다. 이 때문에 PC 속도가 느려지는데, ‘시스템 복원’을 끄면 속도가 한결 빨라진다.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고른다. 시스템 등록정보’ 창이 열리면 ‘시스템 복원’ 탭을 누른 다음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을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된다.

시스템 복원을 끄면 PC가 한결 빨라진다. 


14. 하드가 이유 없이 데이터를 읽을 때는?

아무런 작업도 하지 않는데 드르륵~ 거리며 하드디스크를 읽는 소리가 난다. 본체의 HDD LED도 깜박인다. 왜 아무런 명령을 내리지 않은 하드디스크가 작동을 할까? ‘인덱싱 서비스’ 때문일지 모르므로 이 명령을 끈다. 인덱싱 서비스는 하드에 있는 파일을 정리해 빨리 뜨게 해주지만 명령을 꺼도 PC를 쓰는 데 별 문제가 없다.

제어판 → 관리도구 → 서비스 → indexing service → 속성 → 사용안함을 누른 뒤 재 부팅하면 하드가 잠잠해진다.


15. 바탕화면 단축 아이콘에서 화살표를 지우자

프로그램 파일과 단축 아이콘을 구분하기 위해 단축 아이콘에는 ‘화살표’가 붙어 있다. 알아보긴 쉽지만, 왠지 지저분해 보인다. 화살표를 지우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LASSES_ROOT\lnkfile를 고른 뒤 오른쪽 창에서 → isshortcut를 지우면 된다.

화살표가 없어 아이콘이 깔끔하게 보인다. 

 

16. 폴더 창을 재 빨리 연다.

탐색기에서 폴더를 이동하다보면 폴더 안에 있는 파일을 읽어 들이는 속도가 느리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을 때가 많다. 느린 속도 때문에 답답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해보자.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 → 폴더옵션을 차례로 고른다. 

‘보기’ 탭의 ‘고급설정’ 칸에서 ‘폴더 및 바탕화면 항목에 팝업 설명 표시’ ‘압축된 파일과 폴더를 다른 색으로 표시’ ‘독립된 프로세스로 폴더 창 실행’ ‘네트워크 폴더 및 프린터 자동 검색’ ‘폴더 팁에 파일 크기 정보 표시’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이렇게 해두면 폴더 창이 조금 더 빨리 열린다. 

 

17. 윈도우즈 XP에서 도스 게임 하기

윈도우즈 XP는 32비트 운영체제여서 16비트 도스 게임을 누르면 실행이 되지 않고 창이 꺼져 버린다. 도스 게임을 하고 싶다면 VDM(virtual DOS machine)이란 프로그램을 내려 받아 깐다. exe 실행파일을 골라 오른쪽 마우스 단추로 메뉴를 부른 뒤 run with VDMS를 누르면 된다. VDM은 PC사랑 홈페이지 ‘프로그램 타입 캡슐’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윈도우즈 XP에서 추억이 담긴 게임을 즐겨보자.  

0으로 바꾸면 메뉴가 빨리 뜬다. 


18. 메신저로 파일을 받을 수 없다고?

윈도우즈 XP는 인터넷 연결 방화벽 설정 부분이 있어서 외부에서 내 PC로 접속하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메신저나 P2P 프로그램을 쓸 때는 이 방화벽 때문에 서로 자료를 주고받지 못한다. MSN 메신저를 비롯해 메신저가 P2P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주고받을 때 방화벽이 가로막으면 다음과 같이 해결한다.

바탕화면의 ‘네트워크 환경’의 ‘속성’을 연 다음 ‘로컬 영역 연결’을 한번 누른다.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속성’을 연 뒤 고급 → 인터넷 연결 방화벽을 끈다.

인터넷 연결 방화벽을 끄면 메신저나, P2P 프로그램을 문제없이 쓸 수 있다. 


19. 윈도우즈 XP에서 디스크 검사를 하자

윈도우즈는 문제가 있을 때 ‘디스크 검사’를 해 오류를 고친다. 하지만 윈도우즈 XP는 윈도우즈 98과 달리 ‘디스크 검사’ 메뉴가 따로 없다. 보조프로그램에 등록 되어 있지도 않다. 그렇다고 디스크 검사가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내 컴퓨터 → 로컬 디스크(c:)를 오른쪽 마우스로 메뉴를 불러 ‘속성’을 누른다.

‘도구’ 탭에 가면 ‘디스크 검사’가 있다. 모든 창과 프로그램을 다 끄고 검사하도록 한다. 

윈도우즈 98보다 메뉴가 간단하고 검사가 빠르다. 


20. 지워도 보이는 프로그램 지우기

안 쓰는 프로그램을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지우지 않고 탐색기로 폴더만 지우면 프로그램 목록에 남는다. 이것이 쌓이고 쌓이면 프로그램 설치가 안 되고, 윈도우즈까지 느려진다. 흔적이 남지 않게 깔끔하게 지워보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에 들어가 지울 프로그램을 골라 지우면 된다. 


21. 시스템 종료 창 바꾸기

여러 이용자가 하나의 PC를 쓸 때 시스템을 켜면 시작 화면이 뜬다. 여기에는 각 이용자가 등록되어있고 누가 어떤 프로그램을 쓰는지 간단히 나와 있다. 내가 무엇을 할지 다른 사람이 보는 게 싫다면 윈도우즈 98처럼 이름만 보이므로 보안이 더 낫다. 윈도우즈 98처럼 바꿔보자.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 → 사용자 계정을 고른 다음 ‘사용자 로그온 또는 로그오프 방법변경’을 누른다. 

‘새로운 시작 화면 사용’의 체크 표시를 없애고 ‘옵션 적용’ 버튼을 누르면 로그 창이 고전적인 형태로 바뀐다.

‘새로운 시작 화면 적용’을 누르면 윈도우 98처럼 시스템 종료 창이 바뀐다. 


22. 꼭꼭 숨겨진 윈도우즈 XP 관리 프로그램들

윈도우즈 XP의 시작 버튼 → 실행을 누르면 ‘실행’ 창이 열린다. 여기에 명령을 써넣으면 작업이 바로 실행된다. ‘실행’ 창에 쓸 수 있는 명령어와 하는 일은 다음과 같다. 


compmgmt.msc 컴퓨터 관리와 관련 시스템 도구 창을 연다. 

diskmgmt.msc 디스크 관리 창을 띄운다. 

eventvwr.msc 윈도우즈 메시지가 담긴 이벤트를 본다. 

gpedit.msc 도메인 또는 액티브 디렉토리나 PC에 저장되어 있는 조직 단위에 연결된 그룹 정책 개체를 편집하는 ‘로컬 컴퓨터 정책’을 연다. 

perfmon.msc 시스템 성능을 감시하고 로그와 경고를 기록한다. 

secpol.msc ‘로컬 보안설정’을 열어 도메인의 PC 보안 정책을 정의하게 도와준다. 

devmgmt.msc 하드웨어 장치 목록을 보고 각 장치에 대한 특성을 정하는 ‘장치관리자’ 창을 연다. 

dfrg.msc ‘디스크 조각모음’ 창을 연다. 

fsmgmt.msc 공유 폴더를 띄운다. 

lusrmgr.msc 로컬 이용자를 확인한다. 

rsop.msc ‘정책의 결과 집합’ 창을 연다. 

services.msc ‘서비스’ 창을 띄운다. 


23. 메뉴를 빨리 빨리

제원이 낮은 PC를 쓰고 있다면 창이 뜰 때 나타나는 갖가지 효과를 없애 창을 빨리 띄워보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desktop에서 MenuShowDelay을 살펴보면 400

으로 되어있다. 이 값을 0으로 고쳐주면 된다. 

새 이름을 쓰고 엔터 키를 누른 다음 이름을 바꾼 파일 다음에 있는 것들은 새 이름 뒤에 1부터 숫자가 붙는다.


24. 하드디스크 파티션 하기

윈도우즈 98에서는 ‘fdisk’라는 프로그램으로 하드디스크를 나눠 썼다. 윈도우즈 XP는 이 fdisk프로그램이 없어진 대신 파티션을 쉽게 할 수 있는 메뉴가 생겼다.

시작 → 설정 →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 → 디스크 관리에 들어가면 하드디스크의 갖가지 정보가 뜬다. 파티션 하려는 하드디스크에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메뉴를 불러온다. 파티션 뿐 아니라 하드디스크를 매만질 수 있는 갖가지 메뉴가 있다.

윈도우즈 XP는 복잡한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간단히 끝낸다. 


25. 내 PC 시각이 맞지 않을 때 

작업 표시 줄 오른쪽에 있는 시계를 1분 1초도 틀리지 않게 맞춰보자. 먼저 작업 표시 줄의 시계를 누르고 ‘인터넷 시간’이란 탭을 누른다. ‘인터넷 시간 서버와 자동으로 동기화’를 체크하고 ‘지금 업데이트’를 누르면 된다. 

인터넷 서버에 있는 정확한 시계와 연결되어 제대로 된 시간을 보여준다. 


26. 회사 이름과 이용자 이름 바꾸기

윈도우즈 XP를 처음 깔 때 넣었던 회사 이름과 이용자 이름을 바꾸고 싶다면, 레지스트리를 매만지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에 들어가면 RegisteredOrganization과 RegisteredOwner라는 값이 있다.

RegisteredOrganization은 회사 이름, RegisteredOwner는 사용자 이름이다.

입맛에 맞게 바꾼 뒤 재 부팅하면 바뀐다.


27. CD롬 자동 삽입 통지 막기

윈도우즈 XP는 윈도우즈 98처럼 ‘자동 삽입 통지’ 메뉴가 없다. CD롬을 넣으면 CD롬 내용이 알아서 뜨는데, 이 기능이 귀찮다면 레지스트리를 만져 끄면 된다.

시작 → 실행에서 regedit 라고 쓰고 엔터 키를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001\Services\Cdrom에서 Autorun값을 `0`으로 하면 CD를 넣어도 CD가 자동 실행되지 않는다.


28. 인터넷 화면이 제대로 안보일 때

인터넷 게임을 하려고 하는데 화면이 제대로 뜨지 않는다면 어떻게 할까? 인터넷을 띄우면 그 사이트에 맞는 개체가 깔리는데, 이 개체가 제대로 깔리지 않을 때 이런 일이 일어난다. 

제어판 → 인터넷 옵션 → 일반 탭에서 임시 인터넷 파일의 ‘설정’ 메뉴를 찾는다.

‘개체 보기’를 누르면 내 PC에 깔려 있는 갖가지 개체들이 보인다. <Ctrl + A> 키를 눌러 ‘전체 선택’을 한 뒤 Del 키를 눌러 지운다. ‘예’를 누르면 말끔히 지워진다. 다시 인터넷 사이트에 들어가면 개체가 깔리기 전에 ‘예’ ‘아니오’라는 창이 뜬다. ‘예’를 누르면 개체가 바로 깔려 인터넷 화면을 제대로 볼 수 있다. 

'예‘를 눌러야 화면을 띄우는 데 필요한 개체가 깔린다. 



29. ‘도움말 및 지원’ 메뉴 지우기

윈도우즈를 쓰다가 모르는 것이 있으면 ‘도움말’을 보지만 사실 별 도움이 되진 않는다. 차라리 이것을 없애면 프로그램이 띄울 때 조금 더 빨리 뜬다.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Explorer에 간 뒤 ‘새로 만들기’ 에서 DWORD값을 만든다.

이름을 NoSMHelp으로 하자. 마우스를 두 번 눌러 데이터 값을 불러와 ‘1’이라고 넣자.

재 부팅 하면 ‘도움말 및 지원’ 메뉴가 뜨지 않는다.


30. 쓰지 않는 MSN 익스플로러 지우기

윈도우즈 XP를 처음 깔면 MSN 익스플로러가 깔려 있다. MSN 익스플로러는 MSN과 핫메일을 쓰는 사람에게 유용한 프로그램이지만 쓰지 않는다면 이 프로그램을 지워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이자.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MSN Explorer 아이콘에 마우스를 갖다 댄다.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메뉴를 불러와 속성을 누른다. 등록정보 창이 뜨면 ‘대상 찾기’를 누른다. 

Setup 폴더를 열어 보면 msnunin이란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것이 MSN Explorer을 지우는 프로그램이다. 마우스로 두 번 눌러 시작 메뉴에 있는 내 PC에서 MSN 익스플로러를 지운다. 

꼭꼭 숨어 있는 이 파일을 누르면 MSN 익스플로러가 지워진다. 


31. 종료 로고만 뜨고 전원이 안 꺼질 때

‘시스템 종료’를 누르면 ‘이제 시스템 전원을 끄셔도 됩니다’라는 창만 뜨고 꺼지지 않는 일이 있다. 이럴 때 제어판 → 전원 옵션 → APM 탭으로 들어가 ‘최대 절전 모드 사용’을 체크하면 된다.


32. CD를 굽고 있는 도중 PC가 먹통이 될 때

주로 4배속 아래의 낡은 CD-RW 드라이브에서 이런 일이 생긴다. 

제어판 → 시스템 → 하드웨어 탭의 ‘장치 관리자’로 들어간다.

IDE ATA, ATAPI 컨트롤러를 눌러 광학 드라이브가 꽂힌 보조 IDE 채널을 두 번 누른다. 전송모드가 DMA로 되어 있다면 PIO로 바꾼 뒤 적용을 누른다.

PIO 모드로 바꾸면 오래된 CD-RW라도 CD를 척척 구워낸다. 


33. 640 × 480 해상도로 띄우기

윈도우즈 XP 제어판 → 디스플레이 등록정보를 보면 800 × 600이 가장 낮은 해상도로 되어 있지만, 640×480 해상도를 불러 올 수 있다.

제어판 → 디스플레이 → 설정의 ‘고급’ 단추를 누른다.

‘어댑터’ 탭에 들어가면 아래에 ‘모든 모드 표시’라고 되어있다. 이곳을 누르면 640×480 해상도에 256 컬러로 바꿀 수 있다. 

256 컬러가 아니면 뜨지 않는 고전 게임을 즐길 때 좋다. 


34. 바탕 화면 보기 아이콘 만들기

바탕화면 보기 아이콘은 모든 창을 최소화 시킬 때 편하다. 이 아이콘을 실수로 지웠다면 당황하지 말고 새로 만들어보자. 시작 → 보조프로그램 → 메모장을 열어 다음과 같이 쳐 넣는다.


[Shell]

Command = 2

IconFile=explorer.exe,3

[Taskbar]

Command=ToggleDesktop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고른 뒤 ‘바탕화면보기.scf'라고 저장하면 끝난다.

 저장한 파일은 작업 표시 줄의 ‘빠른 실행’ 안에 끌어다 놓자. 


35. 메신저 광고 메시지는 이제 그만!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하지 않았는데도 MSN 메신저를 통해 스팸 쪽지가 계속 날아온다. 이것은 사실 MSN 메신저와 아무 상관이 없다. 메시지를 보내는 이들은 무작위로 IP 주소를 뽑아 윈도우즈 NT 계열의 기본 서비스인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해 광고성 쪽지를 보내는 것이다. 이 쪽지를 받지 않으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제어판 → 관리도구 → 서비스 → Messenger에서 시작 유형을 ‘시작 안함’으로, 서비스 상태를 ‘중지’로 하면 된다. 

이제 지긋지긋한 스팸 메시지가 오지 않는다. 


36. 윈도우즈 포맷하기 전, 즐겨찾기 백업은 필수

윈도우즈를 포맷하고 다시 깔고 나서 해야 할 일이 너무 많다. 즐겨찾기 사이트를 일일이 다시 등록하는 일도 장난이 아니다. 하지만 즐겨찾기가 저장되는 디렉터리만 알고 있으면 이런 노가다(?)를 하지 않아도 된다.

윈도우즈를 포맷하기 전에 c:\doc-uments and settings\이용자 이름\favorites를 통째로 다른 드라이브에 복사해 놓자. 윈도우즈를 다시 깐 뒤 같은 디렉터리로 복사한다. 인터넷의 즐겨찾기를 열면 고스란히 사이트가 들어있다. 하지만 전에 저장했던 순서까지 그대로 열리는 것은 아니므로 약간 손봐야 한다.


37. 하위 폴더를 재 빨리 연다

하위 폴더를 열려면 현재 폴더를 마우스로 두 번 누르거나 그 옆에 있는 +를 고른다. 따라서 디렉토리가 여러 단계로 되어 있으면 필요한 것을 열기위해 이일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한다. 하지만 맨 아래에 있는 것을 단 한번에 여는 방법이 있다.

작업하려는 폴더를 고른 뒤 숫자 키보드에 있는 * 키를 함께 누르면 아래에 있는 모든 폴더가 열린다.


38. 지운 파일 되살리기

탐색기나 내 컴퓨터에서 실수로 중요한 파일을 지우기 십상이다. 하지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도구 모음에 있는 ‘실행 취소’ 버튼을 누르면 사라졌던 것이 다시 나타나기 때문이다. 단축 키는 <Ctrl + Z>다. 

‘실행취소’ 버튼을 누르면 방금 전 내린 명령이 무효가 된다. 


39. 파일 이름이 안 바뀌네?

아무 작업도 하지 않는데 파일 이름이 안 바뀔 때가 있다. 이럴 때 재 부팅하지 않고 이름을 바꾸는 법을 살짝 공개한다. 파일을 고른 뒤 오른 쪽 메뉴를 불러와 ‘속성’을 누른다. 이 곳에서 이름을 바꿔보자 안 바뀌던 파일 이름이 손쉽게 바뀐다. 

파일 복사 중이면 이 방법을 써도 바뀌지 않는다. 


40. 내가 원하는 시각에 PC 끄기

시작 → 실행에서 ‘tsshutdn 시간(초)’을 넣자.

PC를 1분 뒤에 끌 거라면 tsshutdn 60, 1시간 뒤에 끌 거라면 tsshutdn 3600이라고 넣으면 된다. 시간이 되면 바로 종료 되는 것이 아니라 만약을 위해 30초를 더 센다. 

취소하려면 꺼지기 전에 <Ctrl +C> 키를 누르면 된다.


41. 한글 자판 먹통 됐을 때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갑자기 한글 자판이 안 먹힐 때가 있다. 이럴 때 PC를 재 부팅 하지 말고 간단하게 해결하자. 

대부분 왼쪽 Alt를 한번 누른 뒤 한/영 키를 누르면 한글로 바뀐다. 이 방법이 안 되면 왼쪽 <Shift + Alt> 키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한/영 키를 누르면 된다.


42. 윈도우즈 XP의 숨겨진 복사 재주

파일을 복사할 때 같은 파일이 있으면 겹쳐 쓸 것인지 물어보는 창이 뜬다. 모두 겹쳐 쓸 때 ‘모두 예’라는 항목은 편하지만, 겹쳐 쓰지 않고 이어서 복사하려면 ‘아니오’를 일일이 눌러야 된다. 이럴 때 중복된 것만 빼고 복사하는 ‘모두 아니오’가 있으면 얼마나 편할까?

윈도우즈 XP는 이런 재주가 숨겨져 있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아니오’를 눌러보자. 똑같은 파일은 건너뛰고 복사 되지 않은 파일만 복사된다. 

많은 파일을 복사할 때 편하다. 


43.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름 바꾸기

인터넷 창 타이틀 맨 윗부분을 보면 Microsoft Internet Explorer란 꼬리표가 달려있다. 이 꼬리표 이름을 내맘대로 바꿔보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를 찾은 뒤 편집 → 새로 만들기 한 뒤 Window Title 이라고 써 넣는다. 만들었다면 왼쪽 마우스 단추를 두 번 눌러 이름을 써 넣는다. PC를 재 부팅하면 이름이 바뀐다.  

인터넷 창 위에 있던 Microsoft Internet Explorer란 글자를 마음대로 바꾸었다. 


44. 시작 페이지 고정하기

인터넷을 하다 보면 성인사이트가 첫 페이지로 뜨는 일이 종종 있다. 인터넷 옵션에서 홈페이지를 바꿔도 계속 뜨는 사이트가 정말 짜증난다. 레지스트리를 매만져 이런 문제를 말끔히 털어버리자.

시작 → 실행에서 regedit 라고 쓰고 엔터 키를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Explorer\Main,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Explorer\Main으로 가서 둘 다 Start_Page 의 값을 처음에 띄우려는 페이지 주소로 바꾼다.

그 다음 왼쪽 창 Main 에서 오른쪽 클릭 ‘사용 권한’ 고른 뒤 쓰고 있는 계정을 고른 다음 밑에 고급 → 편집을 누른다. 값 설정에서 ‘거부’에 체크 하면 끝난다. 

이 곳에서 사이트 이름을 바꾼다. 


45. MSN 메신저 6의 숨겨진 이모티콘들

MSN 메신저에는 재미있는 이모티콘이 들어 있다.

메신저를 띄운 뒤 이 단어들을 채팅창에서 쳐 넣으면 재미있는 이모티콘이 뜬다.

(st) = 비

(%) = 수갑

(pl) = 접시

(ci) = 담배

(li) = 번개

(tu) = 거북이

(xx) = 엑스박스

(yn) = 검지와 중지


46. 윈도우즈의 보기 설정을 한결같이

파일 목록을 특정한 방식, 예를 들어 ‘큰 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자세한 정보’와 함께 표시할 때, 모든 폴더의 보기 옵션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두루 적용할 수가 있다. 

윈도우즈 탐색기의 ‘도구’ 메뉴에서 ‘폴더 옵션’을 고른다. 

‘보기’ 탭의 ‘폴더 보기’ 칸에서 ‘모든 폴더에 적용’ 버튼을 누른 다음 ‘폴더 보기’ 창이 열리고 모든 폴더에 적용할 것인지 물으면 ‘예’ 버튼을 누른다. 

다른 폴더에서도 보기 옵션을 일일이 정하지 않아도 된다. 


47. 드라이브 순서 바꾸기

윈도우즈 98 제어판에서 바꿀 수 있던 ‘드라이브 순서’가 윈도우즈 XP에는 없다. 하지만 꼭꼭 숨겨져 있을 뿐 바꾸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시작 → 실행 → diskmgmt.msc를 치면 ‘디스크 관리’가 뜬다. 바꿀 드라이브를 누르고 오른쪽 단추로 메뉴를 불러온 다음 ‘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 변경’을 누르면 된다. 가상 드라이브와 CD롬이 뒤죽박죽일 때 이 곳에서 순서를 바꿔 정리할 수 있다. 

운영체제가 깔린 드라이브는 바꿀 수 없다. 

 

48.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 지우기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는 영화를 보기에 좋지만, 실시간 방송이 뜨지 않는 일이 종종 있다. 이것은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가 실시간 서비스인 VOD를 제대로 알아채지 못해서다. 

이런 이유로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를 지우고 종전 버전으로 돌리려면 시작 → 실행 → RunDll32 advpack.dll,LaunchINFSection %SystemRoot%INFwmp.inf,Uninstall이라고 치면 된다.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를 깔기 전으로 돌릴 수 있다. 


49. 누가 내 PC 만졌어!

내 PC가 언제 켜졌는지 남이 내 PC를 만졌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의 메모장에서 다음과 같이 써 넣자.

@echo off

echo Windows 부팅 >>c:list.txt

echo %date% %time% >>c:list.txt

echo. >>c:list.txt

파일 이름을 list.bat라고 저장한 뒤 저장한 파일을 시작 프로그램에 놓는다. 

c 드라이브에 들어가 list.tct 파일을 보면 PC를 켠 흔적이 남아있다. 


50. 깔지마! 깔지 말란 말야!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바탕 화면에 깔리는 아이콘을 일일이 지우는 것도 지겹다. 웹 사이트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깔지 못하게 해보자. 

제어판 → 인터넷 옵션 → 보안에서 ‘웹 컨텐트 영역’을 ‘인터넷’으로 고른다.

‘사용자 지정 수준’을 누른다. ‘바탕 화면 항목 설치’를 찾아 ‘설치 안함’을 고르면 된다. 

이제 바탕화면에 웹 사이트 아이콘이 깔리지 않는다. 


51. 머리글과 바닥글 없애기

인터넷 화면을 문서로 뽑으려면 파일 메뉴의 ‘인쇄’를 누르면 된다. 하지만 프린터에 http://www.ilovepc.co.kr/record_detail_read.php?NO=15879같은 경로가 같이 찍혀 나와 지저분하다. 이것이 싫으면 파일 → 페이지 설정을 눌러 ‘머리글’과 ‘바닥글’에 있는 칸을 깨끗이 지운다음 인쇄하면 된다.

 

52. 키보드 없이 키보드를 친다?

윈도우즈 XP는 키보드가 없이 PC를 쉽게 쓸 수 있도록 ‘화상 키보드’를 지녔다. 이것은 글자 그대로 키보드 모양을 화면에 띄워 마우스로 눌러 글자를 띄우거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내게 필요한 옵션 → 화상 키보드를 누르면 된다. 

화상 키보드는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자들을 위해 만든 프로그램이다. 


53. 플로피디스크 읽지 마!

부팅한 뒤나 탐색기를 띄웠을 때 윈도우즈는 무작정 A 드라이브인 플로피디스크를 읽는다. 이것은 하드웨어가 잘 달려 있는지를 윈도우즈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런 일을 없애도 윈도우즈를 쓰는 데 아무런 이상이 없으므로 윈도우즈가 하드웨어를 검색하는 명령을 고치자. 

제어판을 띄워 ‘관리도구’를 열고 ‘서비스’ 아이콘을 골라 shell hardware detection 항목을 두 번 누른다.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맞추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서비스’ 창에서 shell hardware detection 항목을 골라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바꾼다. 이렇게 하면 플로피디스크를 읽지 않는다. 


플로피 디스크를 자주 쓰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바꾸자. 


54. 최대 절전 모드 해제로 하드디스크 용량을 확보하자 

제어판의 ‘전원 옵션’ 가운데 최대 절전 모드를 쓰면 윈도우즈는 얼마 뒤 메모리에 담긴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적은 전기만 쓰면서 대기모드로 들어간다. 이 때 하드디스크 용량을 500MB 정도 차지한다. 

대기모드를 쓰지 않는 이에게 이 옵션은 하드디스크 용량만 잡아먹는 쓸데없는 것이다. 바탕화면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속성’을 눌러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을 띄운다. 화면보호기 항목에서 ‘전원’ 버튼을 누르고 전원 옵션 등록정보를 보자. ‘최대 절전 모드’ 탭에서 체크 표시를 없앤다.


55. 응답이 없는 프로그램 빨리 닫기

윈도우 XP 응답이 없는 프로그램은 시간이 얼마 지나야 닫히게 된다. 기다린다고 응답 없는 프로그램이 다시 살아나는 것도 아니므로 이 시간을 무시하고 바로 끄자.

시작 → 실행에서 regedit 라고 쓰고 엔터키를 치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에서 HungAppTimeout를 왼쪽 마우스로 두 번 눌러 1000으로 고치면 된다. 


56. 내가 쓰는 윈도우즈 XP가 정품일까?

윈도우즈 XP는 불법 복제를 쓰지 못하게 인터넷으로 정품 등록을 한다. 이것을 흔히 ‘인증을 받는다’고 한다. 하지만 인증을 받지 않고도 정품처럼 쓰는 불법 OS가 널리 퍼져 있다. 정품인데도 인증을 받지 않으면 적어도 30일 동안 작동한다. 과연 내가 쓰는 윈도우즈 XP는 인증을 받은 것일까?

시작 → 실행 → oobe/msoobe /a라고 치면 인증 창이 뜬다. 

정상적인 OS이면 그림처럼 인증을 받았다는 메시지가 보인다. 


57. MSN 메신저를 지우자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는 MSN 메신저를 지울 수 없다. 지우고 싶다면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에 있는 메모장으로 c:\windows\servicepackfiles\sysoc.inf 파일을 연다.

msmsgs=msgrocm.dll,OcEntry,msmsgs.inf,hide,7이라고 되어 있는 줄을 찾은 뒤,

msmsgs=msgrocm.dll,OcEntry,msmsgs.inf,7로 바꿔주면 시작 →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 windows 구성요소 추가/제거에 MSN 메신저 체크박스가 뜬다. 이 박스를 끄면 MSN 메신저를 지울 수 있다. 

MSN 메신저를 쓰지 않는다면 이 곳에서 지우면 된다. 


58. L2 캐시 매만져 PC를 재빨리 돌리자

윈도우즈 XP는 CPU의 L2 캐시를 알아채 PC를 재빨리 돌린다. 하지만 데이터가 많아지거나 멀티태스킹을 할 때 캐시를 읽지 못해 순간적으로 느려질 때가 있다. 캐시를 고정시켜 운영체제가 일일이 캐시 메모리를 찾는 수고를 덜어주자.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Manager\Memory Management를 찾은 뒤 SecondLevelDataCache를 고른다.

그 다음 내 CPU에 맞는 캐시를 넣으면 된다. 바탕화면에 있는 ‘내 컴퓨터’를 누른 뒤 오른쪽 메뉴를 불러와 ‘속성’을 누르면 내 CPU 정보가 뜬다. 


59. 다이렉트 X의 최신 버전 깔기

시작 → 실행에서 dxdiag라 쳐 넣고 엔터를 치면 다이렉트 X 버전 뿐 아니라 갖가지 정보가 뜬다. 다이렉트 X가 8.1 이하가 깔려있다면 9.0을 새로 까는 것이 좋다. 게임속도가 재빨라지기 때문이다. 다이렉트 X 9.0을 내려받고 싶다면 시작 → windows update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창이 뜨면 ‘업데이트 검색’을 누른 다음 중요 업데이트 및 서비스 → 업데이트 검토 및 설치를 눌러 ‘지금 설치’를 누르면 된다. 

다이렉트 X 9.0이상이 깔려있는지 확인하자. 


60.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전체 화면으로 보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전체 화면으로 시원시원하게 보는 방법이 있다.

인터넷 창을 띄우고 F11 키를 눌러도 되지만 항상 전체 화면으로 띄우려면 레지스트리를 매만져야 한다. 시작 → 실행 → regedit 라고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뜬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Main 으로 간 다음 오른쪽 창에서 FullScreen을 찾는다. 

FullScreen을 두 번 눌러 no를 yes로 바꾸면 된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Windows XP 블루 스크린 에러코드 정보(XP 에러)]


Error code Stop 0x000000ed Unmountable Boot Volume 


[원인]

IDE 디스크 드라이브의 쓰기(Write) 패턴 최적화로 인해 캐싱 루틴은 데이터가 있는 디스크의 위치에 따라 드라이브 쓰기 속도를 가장 빠른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때때로 순서에 관계 없이 데이터를 쓰게되고 이렇게 하면 쓰기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NTFS 디스크 시스템이 중요한 테이블을 손상시킬 수 있는 시간 창이 열린다.


이전에는 디스크에 어느 정도 중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전체 속도가 약간 느려지는 것이 허용되는 상황에서는 IDE 드라이브의 캐싱을 해제하도록 권장했지만, 중요한 데이터가 있는 프로그램은 데이터 트랜잭션 관리 능력이 뛰어난 SCSI 드라이브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해결]

- XP 시디를 이용하여 부팅이 되면 복구(r)모드로 들어간다.

- 키보드와 운영체를 선택하고 C:\> 상태가 되면 chkdsk /p 를 입력후 엔터.


- 체크디스크가 끝나면 fixboot 입력 후 Y 눌러주고 재부팅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05: INVALID_PROCESS_ATTACH_ATTEMPT

[원인]

 윈도우XP SP2, 2003 서버, XP 타블렛PC 2005 에디션에서 바이러스 백신, 방화벽 프로그램,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때문에 발생 할 수 있다.

 

[해결]

1. Windows XP SP2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Windows XP용 887742 업데이트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십시오. 



Windows XP용 887742 패키지 다운로드

2. 바이러스 백신이나 멀티미디어 응용프로그램 백업 프로그램등과 같이 필터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제거 또는 업데이트한다.


[참고]

 Windows XP 서비스 팩 2 또는 Windows Server 2003에서 "Stop 0x05 " Stop 오류가 발생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0A or IRQL_NOT_LESS_OR_EQUAL 


[내 용]


1. 프로세서 및 메모리관리나 데이터 입출력 하드웨어제어 등의 IRQL(interrupt request level)인터럽트 요청 레벨이 너무높을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2. 메모리로 접근을위한 커널모드가 퍼미션을 가지지 못할 때 생기는 오류이다.


3. 일반적으로 이 메시지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호환성 문제 때문에 생긴다.


 


[해결]


1. 드라이버나 펌웨어를 설치하는데 실패할 때 발생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패한 드라이버를 삭제하거나 드라이버 롤백기능을 사용한다. 


2. 윈도우 XP를 업그레이드하는 동안 이오류가 나타나면 호환성부족 드라이버나 바이러스를 체크 해본다.



[참고]

Windows NT의 "Stop 0x0A" 메시지 문제 해결

Windows XP에서 Stop 0x0000000A 오류 해결

Windows XP를 업그레이드하는 동안 "Stop 0x0000000A "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같은 파티션에서 Windows NT 4.0과 이중 부팅(Dual Boot)할 때 STOP: 0x0000000A 오류 발생

컴퓨터를 종료하려고 하면 Windows XP가 다시 시작된다

Windows 2000에서 Driver Verifier를 사용하여 장치드라이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STOP 0x0A, 0x01E, and 0x50 가 발생 가능한 화면 해상도

AC Power에서 DC Power로 변환시 발생하는 "STOP 0x0000000A" 오류 메세지

빠른 사용자 전환 시 "Stop 0x0000000A" 오류 메시지가 발생한다.

Hewlett-Packard 5100C ScanJet에서 "Fatal System Error" 가 발생한다.

컴퓨터를 시작할 때 STOP 0x4E, STOP 0x1A, STOP 0x50, and STOP 0xA 오류가 발생한다.

윈도우2000 계열에서 발생하는"Stop: 0x0000000A (00000063, 0000001c, 00000000, parameter4)" 오류

 


 


Error code Stop 0x0000001A: MEMORY_MANAGEMENT

[원인]

1. 하드웨어와 관련된 오류중 하나다. 윈도우 설치 중 이 오류가 발생하면 메모리 용량부족, 하드디스크 공간 부족여부를 확인해야한다.

 

[해결]

1. 디스크 공간이 부족할 때 발생되는 오류중하나이며 chkdsk.exe autochk.exe의해 발생되는 인터넷캐쉬파일이나 temporary files(*.tmp files) 응용프로그램 백업파일을 삭제해 준다.


2. 날짜가 오래된 드라이버나 하드웨어 문제가 이 에러의 원인이다. 최근에 드라이버를 바꾼것이 없다면 CPU,메모리,캐쉬,VRAM,BIOS 그리고 다른 칩들이 확실히 장착이 않되었을지 모른다. 엉뚱한 얘기같지만 보통 이러한 문제 때문에 생긴다.


 

[참고]

 컴퓨터를 시작할 때 STOP 0x4E, STOP 0x1A, STOP 0x50, and STOP 0xA 오류가 발생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1E or KMODE_EXCEPTION_NOT_HANDLED 


[원인]


1. 커널 오류중 하나이며 0×A오류와 거의 같다.


2. 메모리 부족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3. 단순한 버그 체크이다. 일반적으로 제외된 어드레스(두번째 파라미터)는 문제를 야기시키는 드라이버/기능을 찾아낸다. 이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이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는 드라이버/이미지의 연결 날짜를 항상 적어놓아라


 


[해결]


1. 바이러스 백신이나 멀티미디어 응용프로그램 백업 프로그램등과 같이 필터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한다.


2. 원격 제어프로그램의 win32k.sys 파일이 손상되었을 경우나 다른회사의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설치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3. 안전모드로 접근을 못하는 경우 Recovery Console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4. 시스템 펌웨어의 호환성부족으로 발생할수 있으며 바이오스 업그레이드로 문제를 해결해 본다.


 


[참고]

STOP 0x0A, 0x01E, and 0x50 가 발생 가능한 화면 해상도

설치하는 동안 "Stop: 0x0000001E" 오류 메시지 발생

Windows를 설치하는 동안 "STOP 0x0000001E"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Aspi32.sys로부터의 "STOP 0x0000001E KMODE_EXCEPTION_NOT_HANDLED" 오류 메시지

Open Handles Cause STOP 0x0000001E or STOP 0x00000024

Toshiba Tecra 8100에서 도킹해제 시 STOP 0X0000001E in Protcls.sys가 발생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19 or BAD_POOL_HEADER 

[원인]

1. Pool Header 이상(시스템을 디버깅하면 원인이 나타난다)

2. 일반적인 에러는 아니지만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했던 작업이 이 에러의 원인 일 수 있다.


 


[해결]

2. 부팅시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 을 선택한 후 부팅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23: FAT_FILE_SYSTEM 

[원인]

1. FAT 방식의 드라이브를 읽거나 기록시 발생하는 오류. 하드웨어적인 문제, 제어신호의 오류가 원인이된다.

2. 단편화가 심한 경우, 과도한 파일 입출력, 레이드 소프트웨어, 바이러스 백신과의 문제로도 발생한다.


[해결]

1. CHKDSK, Defrag를 실시한다.

2. Virus 백신,스파이웨어 제거툴, 방화벽 프로그램, 백업 프로그램을 사용중지.

3. 최신버전의 서비스 팩, 각종 저장장치 드라이버의 최신버전으로의 업데이트를 실시.

 

[참고]

 "Stop 0x00000023 FAT_FILE_SYSTEM" 오류 시 트러블슈팅 방법

이동식 저장장치를 사용 할 때 "Stop 0x23" Error Message가 발생한다

STOP Errors 0x00000023 and 0x0000000A in Fastfat.sys When a Program Queries the File System



 



Error code Stop 0x00000024 or NTFS_FILE_SYSTE 


[원인]


1. NTFS파일 시스템 드라이버들을 쓰거나 읽는데 필요한 드라이버파일인 ntfs.sys 가 깨지거나 삭제되었을 경우 발생한다.


2. 모든 화일 시스템 버그 체크는 자신의 첫번째 UNLONG에 소스화일을 기록하고 버그 체크를 만드는 소스화일내에서 라인을 만든다. 높은 16비트는 화일을 확인하는 반면, 낮은 16비트는 버그 체크가 발생한 화일의 소스라인을 확인한다.


 


[해결]


1. SCSI나 ATA 하드웨어드라이버의 부조화로 발생하는 에러이다. 스카시인 경우 termination문제 케이블을 체크한다.


2. event viewer에서 시스템 로그 안에 SCSI나 FASTFAT 과 관련된 에러사항을 체크한다. 


3. 해당 제품 제조회사에서 제공하는 하드웨어 진단프로그램과 진단 소프트웨어로 테스트해본다. 


4. 도스창에서 CHKDSK /F로 체크해본다.(화일시스템의 오류를 수정)


5. 다른 NT시스템에 이 에러가 생긴 드라이브를 장착시킨후 디스크검사를 한다.


 


[참고]


Troubleshooting Stop 0x24 or NTFS_FILE_SYSTEM Error Messages

응용프로그램을 닫을 때 STOP 0x0000001E or STOP 0x00000024 오류가 발생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27: RDR_FILE_SYSTEM 


[원인]

1. 원인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오류다.

 

[해결]

1. (커널의)메모리 관리가 문제가 돨 경우가 있으며 메모리를 추가함으로서 해결되는 경우도 있다.

 

[참고]

 How to Troubleshoot a "STOP 0x00000027 RDR_FILE_SYSTEM" Error Message

"Stop 0x00000027 RDR_FILE_SYSTEM" Error Message During Shutdown


 


Error code Stop 0x0000002E or DATA_BUS_ERROR 


[원인]


1. 시스템 페러티 에러나 메모리모듈 Level2 cache 나 비디오메모리 손상으로 발생되는 에러이다. 


2.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할수있다.


 


[해결]


1. 드라이버를 잘못설치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파일이름을 보여주면 해당파일을 제거하거나 롤백 기능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2. 램의 물리적인 손상일 경우가 많으므로 데이터가 주소에 제대로 접근 못하는경우가 많다. 이럴경우는 램을 교체해본다.


3. 크랙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Error code Stop 0x00000035: NO_MORE_IRP_STACK_LOCATIONS

[원인]

1. 장치드라이버 또는 램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 할 수 있는 문제다.

 

[해결]

1. MSDN 기술자료를 참고

 

[참고]

STOP 0x00000035 When Using TDITrace from the Windows NT Resource Kit

style="BORDER-RIGHT: white 1px; BORDER-TOP: white 1px; BORDER-LEFT: white 1px; BORDER-BOTTOM: white 1px" 

Problems Changing Mouse in Windows NT with IntelliPoint 2.0

 


 


Error code Stop 0x0000003F or NO_MORE_SYSTEM_PTES 


[원인]


1. 이 에러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될수 있다. 주로 PTEs(page table entries)-시스템의 입출력수행의 과도현상 PTEs(메모리공간에대한정보)가 부족하거나 파손되는경우에 발생할수 있는 에러이다.


2. 잘못된 드라이버 설치시 발생할수 있다.


3. 응용프로그램들이 요구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메모리 블록이 부족한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 이다.


 


[해결]


1. 최근에 설치한 장치 드라이버나 응용프로그램을 제거해 본다.

2. 저장장치 관련 응용프로그램이나 장치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4E: PFN_LIST_CORRUPT 

[원인]

1. memory management Page File Number list 손상 시 발생하는 오류다.


2. 손상된 램 모듈 또는 bad memory  descriptor lists를 장치드라이버가 생략하고 샐행 될 때 발생한다.

 

[해결]

1. 컴퓨터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하드웨어 진단 도구를 실행합니다. 

2. 백업 유틸리티, 바이러스 검색 프로그램 또는 방화벽 소프트웨어와 같은 파일 시스템 필터 드라이버를 모두 해제합니다. 

3. 아래의 Microsoft 웹 사이트를 참조하여 하드웨어와 해당 드라이버가 Windows 2000과 호환되는지 확인합니다. 

4. 이 오류 메시지가 불규칙적으로 나타나거나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추가 메모리를 제거하거나 컴퓨터의 RAM을 테스트합니다. 불량 RAM이 있는 경우에 이 문제가 발생합니다. 


 


[참고]

컴퓨터를 시작할 때 STOP 0x4E, STOP 0x1A, STOP 0x50, and STOP 0xA 오류가 발생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50 or PAGE_FAULT_IN_NONPAGED_AREA 


[원인]


1. 요청된 데이터가 메모리에 상주되어 있지 않을때 발생하는 에러이다.


2. 호환이 잘 안되는 소프트웨어 설치시(원격 엑세스, 바이러스 백신)들이 에러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3. 결함이있는 메모리(메인 메모리,L2케시 메모리,video RAM) 


 


[해결]


1. 잘못된 드라이버 설치시 에러를 발생시킬수 있다.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업데이트된 드라이버를 재설치 한다.


2. 만약 제조회사에서 드라이버를 찾지못한다면 비슷한 종류의 드라이버로 교체한다.


 


[참고]

블루 스크린에 Stop 0x00000050 오류가 나타난다

Possible Resolutions to STOP 0x0A, 0x01E, and 0x50 Errors

Windows NT 4.0을 설치하는 동안 "Stop 0x50" 오류 메시지

Windows XP에서 Easy CD Creator 5.0이 작동하지 않는다

Driver Verifier를 사용하여 장치 드라이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STOP Error When You Start Windows After You Connect a Scanner

ToshibaTecra8100에서 도킹해제시 STOP 0X0000001E in Protcls.sys가 발생한다

컴퓨터를 시작할 때 STOP 0x4E, STOP 0x1A, STOP 0x50, and STOP 0xA 오류가 발생한다.

STOP 0x00000050” Error Message in Stac97.sys After You Upgrade Your Panasonic Toughbook to Win XP Service Pack 1


 



 


Error code Stop 0x00000051 REGISTRY_ERROR 

[원인]

1. 레지스트리 또는 설정관리자와 관련된 오류다. 파일시스템 또는 하드웨어 문제 때문에 레스스트리 파일을 읽거   나 쓸때 발생하는 I/O 오류다.


2. 메모리 관리오류가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3. 컴퓨터에 리소스 제한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하는 새로 고침 작업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 오류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해결]

1. ERD(응급 복구 디스크)가 있으면 레지스트리를 알 수 있는 작동 상태로 복원하는 것이 좋습니다.응급 복구 디스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231777 (http://support.microsoft.com/kb/231777/) Windows 2000에서 응급 복구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

2. 새 하드웨어를 설치한 후에 컴퓨터를 처음 시작한 경우라면 하드웨어를 제거하고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3. 아래의 Microsoft 웹 사이트를 참조하여 하드웨어와 해당 드라이버가 Windows 2000과 호환되는지 확인합니다.

http://www.microsoft.com/whdc/hcl/default.mspx


4. 하드웨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제조업체에 문의하십시오.

5. 처음으로 Windows 2000을 설치하는 경우 운영 체제를 로드하는 데 필요한 RAM 크기와 하드 디스크 공간 등 모든 Windows 2000 요구 사항이 만족되는지 확인하십시오. 

6. Windows 2000이 로드되고 사용자가 새 하드웨어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복구 옵션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여 덤프 파일을 만드십시오.


7. 오류 메시지가 계속 나타나는 경우 컴퓨터를 다시 시작할 때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 옵션을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 옵션이 없으면 ERD를 사용하십시오. ERD가 없으면 기술 지원 부서에 문의하십시오.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 옵션 및 다른 Windows 2000 부팅 옵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202485 (http://support.microsoft.com/kb/202485/) Windows 2000의 안전 부팅 모드에 대한 설명  

8. 부팅시 F8번을 눌러 부트 메뉴에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을 선택하던지 시스템 복원을 이용하여 백업화일로 부터 레지스트리를 복원한다.


 


[참고]


구성 관리자는 시스템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내부 Windows 시스템 구성 요소입니다. Windows가 실행되는 동안 필요한 경우 항상 실행됩니다


 


 


Error code Stop 0x0000005A: CRITICAL_SERVICE_FAILED 

[원인]

1.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으로 부팅 시 윈도우 필수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다.

 

[해결]

1. 최근에 장착한 하드웨어 제거 후 재 부팅한다.

2. 호환되지 않는 하드웨어를 점검한다. 

3. 메모리 덤프를 분석하여 원인이 되는 장치를 찾아본다.

 


 


Error code Stop 0x00000076: PROCESS_HAS_LOCKED_PAGES 


[원인]

1. 이 오류는 장치 드라이버가 I/O 조작 후 잠긴 페이지를 해제하지 못해 발생하는 오류다.

 

[해결]

1. 최신버전의 서비스 팩을 설치하면 해결가능하다.


 


 


Error code Stop 0x00000077 or KERNEL_STACK_INPAGE_ERROR 


[내 용]


1. 이 에러는 페이징 (가상 메모리)파일로부터 요구된 커널 데이터의 페이지가 메모리에서 읽거들이거나 발견되지 않았을때 생기는 오류이다. L2캐쉬의 불량


2. 디스크 데이터 충돌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도 생기는 오류이다. 


 


[상태 코드]


- 0xC000009A, or STATUS_INSUFFICIENT_RESOURCES 리소스부족을 가르킨다.


- 0xC000009C, or STATUS_DEVICE_DATA_ERROR 하드디스크의 베드블럭,섹터로 요청된 데이터를 찾지 못할때


- B127, or STATUS_DEVICE_DATA_ERROR 하드디스크의 배드 블럭, 섹터로 요청된 데이터를 찾지 못할 때


- 0xC000009D, or STATUS_DEVICE_NOT_CONNECTED 결함있는 파워케이블, 스카시 터미네이션 ,하드디스크 컨트롤러 


- 0xC000016A, or STATUS_DISK_OPERATION_FAILED 결함있는 하드디스크의 베드섹터


- 0xC0000185, or STATUS_IO_DEVICE_ERROR 결함있는 파워케이블 ,스카시 터미네이션 ,하드디스크 컨트롤러 두가지 디바이스장치가 동일한 시스템 리소스를 사용해서 생기는 오류


 


[해결]


- CHKDSK /F로 확인했을 때 0xC0000185 이면 SCSI 버스의 연결이나 IRQ를 사용하는 컨트롤러를 확인. 



 


Error code Stop 0x0000007A or KERNEL_DATA_INPAGE_ ERROR 


[원인]

1. 페이지 파일에서 커널데이터를 찾지 못하여 메모리로 로드하지 못해서 생기는 오류다.

 

[해결]

1. 디스크 결함, 디스크콘트롤러 드라이버의 손상, 바이오스, 하드웨어 문제때문에 발생 할수 있다.



 


Error code Stop 0x0000007B or INACCESSIBLE_BOOT_DEVICE 

[원인]

1. 부팅하면서 시스템 파티션을 엑세스하지 못할 때

2. 잘못된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설치되거나 업그레이드 될 때

3.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발생 될 수 있다.

 

[해결]

1. 입출력시스템이나 컨트롤러 등의 드라이버 장치가 잘못 잡혀 있는지 확인한다.

2. 파일시스템이 부트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인식하지 못했을 때는 복구콘솔에서 복구를 시도한다.

3.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하거나 파티션설정을 다시 할 경우나 새로운 디스크 컨트롤러를 업그레이드할 때 boot.ini 부트 매니져 정보가 변경될 경우 생긴다. 이럴 경우 boot.ini 파일을 편집하거나 부트 매니져 파라미터를 조절한다.

4. 드라이버와 펌웨어를 업데이트한다.

 

[참고]

After You Remove or Reinstall Roxio Easy CD Creator 5 Platinum Edition

[SysprepMassStorage] 섹션이 누락되어 Windows XP Sysprep 이미지에 STOP 0x7B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When You Press F6 to Load Drivers During Unattended Win XP Setup

Windows XP 기반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면 "STOP 0x0000007B"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Windows XP 설치 중에 F6 키를 사용하여 제한된 OEM 드라이버 지원을 사용할 수 있다


 


 


Error code Stop 0x0000007E: SYSTEM_THREAD_EXCEPTION_NOT_HANDLED 

[원인]

1. 윈도우가 잘못된 쓰레드를 생성하여 발생하는 오류다. 원인은 다양할 수 있다.

 

[해결]

2. 하드웨어 호환성, 손상된 장치 드라이버 또는 시스템 서비스 점검, 바이러스, 응용프로그램오류 등을 점검해야 한다.

 

[참고]

심각한 오류(Ctljystk.sys에서 STOP: 0x0000007E 발생)가 나타난다

0x0000007e Error When Registering OLEMSG32.DLL or CDO.DLL Files

Stop: 0x7E 오류가 Windows XP를 종료하려고 할 때 Kbdclass.sys에서 발생한다

Windows XP로 업그레이드한 후 "STOP 0x0000007E" 오류 메시지 발생



 


Error code Stop 0x0000007F: UNEXPECTED_KERNEL_MODE_TRAPED 

[원인]

1. 일반적으로 운영체제상의 커널모드(프로그램실행에 필요한 메모리 관리, 프로세서 관리 데이터 입출력, 하드웨어 제어를 수행)에서 발생하는 에러이다.

2. 과다한 CPU 오버클럭킹으로 인한 열 발생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3. BIOS 문제, 또는 화일 시스템 드라이버가 깨졌을 경우 발생한다.(버그 체크의 첫번째 숫자는 trap의 수이다. x86 계열의 trap codes를 살펴본다)

 

[해결]

1. 모든 클럭과 버스 스피드 설정을 처음 설정값으로 변경시켜준다.

2. 크랙된 프로 그램을 쓰는 경우 발생 할 수 있다. 삭제해 본다.

3. 호환성이 부족한 응용프로그램을 인스톨할 경우 발생하는 에러이다.

4. 업데이트를 통하여 해결하거나 패치를 통하여 해결한다.


5. SIMM과 DIMM(메모리)이 같은 스피드나 타입인지 확인하고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6. CMOS setup상태에서 메모리량을 확인하고 CPU 의 스피드를 확인한다.(잘못된 BIOS정보는 NT를 죽게 만들수 있다)


7. 주변기기 및 CPU/Cache/memory/Vram 등을 확인한다.



 

[참고]

 Windows가 응답하지 않고 "Stop Error 0x7F"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Error code Stop 0x00000079 or MISMATCHED_HAL 


[원인]


1. 하드웨어추상화계층(Hardware Abstraction Layer)-입출력 인터페이스, 인터럽트 제어, 다중 프로세서 통신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 종속적인 세부 사항을 처리하는 루틴과 커널타입이 맞지 않아 생기는 오류이다.


2. 주로 ACPI 펌웨어 설정이 변경되었을때 자주일어나는 오류이다.


3. 이 에러는 주로 Ntoskrnl.exe 나 Hal.dll 파일이 손상되었을 경우에 일어난다.

4. 듀얼 프로세서 또는 하이퍼 쓰레딩 프로세서의 설정 파일이 맞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오류다.

 


parameter 1 parameter 2 parameter 3 Description                                                  


0×00000001 Release level of Ntoskrnl.exe Release level of Hal.dll PRCB release   


level mismatch                                                                                                        


0×00000002 Build type of Ntoskrnl.exe Build type of Hal.dll Build type mismatch     


 


3. 이 에러는 주로 Ntoskrnl.exe 나 Hal.dll 파일이 손상되었을 경우에 일어난다. 


 


[해결]


1. 복구 콘솔에서 두 파일을 복구시켜준다.


2. ACPI 기능을 disable 시켜준후 IRQ를 재설정해준다.


 


 


Error code Stop 0x00000080 NMI_HARDWARE_FAILURE 

[원인]

1. 원인을 찾기 힘든 오류 중 하나다.

2. 패러티 기반 시스템에서 패러티를 쓰지 않는 램을 사용하거나 패러티/비-패러티 램의 혼용 또는 SIMM과 L2 캐쉬에 의해 문제가 나타난다.



 


[해결]

1. 변경된 적이 있는 장치 드라이버 파일이나 하드웨어를 이전으로 되돌려본다.

2. 램모듈에 결함이 있는지 철저히 점검한다.

3. 바이러스검사와 하드디스크 손상을 진단해 본다.

4. CHKDSK를 실행시켜 파일시스템의 이상을 진단한다.

5. 하드웨어장장착상태와 전기적인 접점을 철저히 확인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8E


[원인]

1. 호환되지 않은 드라이버를 설치한 경우.

2. Microsoft Windows XP를 설치하는 도중 블루스크린이 나타났을 때.


 -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RAM 모듈에 결함이 있습니다. 

 - RAM 구성이 Windows XP와 호환되지 않습니다. 


3. HaxDoor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해결]

1. 최근 설치한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업데이트된 드라이버를 재설치 하도록 합니다.


2. 컴퓨터에 설치된 메모리 모듈 일부를 제거합니다. Windows XP를 시작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RAM만 컴퓨터에 남겨 둡니다.


※ Windows XP를 실행하는 데 권장되는 RAM 크기는 128MB입니다. 최소값은 64MB이고 최대값은 4GB입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메모리 모듈이 컴퓨터에 설치된 경우 메모리 모듈 중 하나를 제거합니다. 

3.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 다음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4. 이 문서의 "현상" 절에 설명된 오류 메시지가 다시 나타나면 4단계로 진행합니다. 

5. 다른 메모리 모듈을 제거하거나 다른 메모리 슬롯에 RAM을 설치합니다.


※ 특정 메모리 모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식별할 때까지 컴퓨터를 여러 번 다시 시작해야 할 수 있습니다. 

6.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고 설치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합니다.


7. 백신 프로그램의 엔진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한다음, 수동으로 치료해보시기 바랍니다.


 


 


Error code Stop 0x0000009C: MACHINE_CHECK_EXCEPTION 


[원인]

※ 이 문제는 컴퓨터 프로세서가 복구할 수 없는 하드웨어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Windows XP에 보고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1. 시스템 버스 오류 

2. 패리티 또는 오류 수정 코드(ECC) 문제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 오류 

3. 프로세서나 하드웨어의 캐시 오류 

4. 프로세서의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 오류 

5. 다른 특정 CPU 공급업체에서만 발견되는 하드웨어 문제 

6. 특정 공급업체에서만 발견되는 하드웨어 문제 


 


[해결]

※ Windows XP와 하드웨어 플랫폼이 어떤 종류의 하드웨어 오류에서 복구할 수 없어 시스템이 더 이상 성공적이고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없게 되면 MCE(Machine Check Exception)가 발생합니다. MCE의 추가 특정한 진단은 어려우며 일반적인 해결 방법이 없습니다.


1.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받으려면 하드웨어 제조업체나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에 문의하십시오.


 


※ MCE는 다음 조건 중 하나에 의해 자주 발생합니다.


1. 해당 사양 이상인 프로세서나 메인보드를 실행(예: 프로세서나 버스 오버클록킹).

2. 전원에서 잡음이 심하게 나고, 전원 스트립이 과부하되고, 전원 공급 장치에 더 높은 전압이 공급되고, 전원 공급 장치가 고장이 나면 컴퓨터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컴퓨터의 전원 공급 장치가 안정적인지 확인하십시오.


3. 팬 같은 냉각 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이상 고온 상태. 냉각 장치가 모두 작동하는지 확인하십시오. 

4. 손상된 메모리나 사용 중인 컴퓨터에 올바른 종류가 아닌 메모리. 최근에 메모리 구성을 변경한 경우에 잘못된 것을 확인하려면 이전 구성으로 되돌리십시오.


5. 컴퓨터에 올바른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참고]


사용 중인 하드웨어가 MCE(Machine Check Exception)를 캡처하고 보다 특정한 해결 방법을 제안하는 추가 오류 로깅 기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Error code Stop 0x0000009F or DRIVER_POWER_STATE_FAILURE 


[원인]


1. 작스런 전력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에러이다. 


2. 시스템 종료 중이나 최대절전모드,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중 나타 날 수 있다.


3. 컴퓨터에 PACE InterLok 불법 복제 방지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InterLok이 Tpkd.sys 드라이버를 설치하는데, 이 드라이브가 표준 플로피 디스크 컨트롤러 장치와 같은 IRQ를 사용합니다. 


 


[해결]


1. shutting down stanby mode hibernate 모드설정을 체크한다. 


2. 다음 PACE 웹 사이트를 방문하여 최신 Tpkd.zip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파일의 압축을 푼 다음 드라이버를 설치


http://www.paceap.com


 


[참고]


InterLok은 인터넷을 통해 전자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보호, 배포 및 판매하기 위한 도구 세트입니다. 


이 문서에 나와 있는 다른 공급업체 제품은 Microsoft와 무관한 회사에서 제조한 것입니다. Microsoft는 이들 제품의 성능이나 신뢰성에 관하여 명시적이든 묵시적이든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 포함된 다른 공급업체의 연락처 정보는 기술 지원을 받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이 연락처 정보는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Microsoft는 이러한 다른 공급업체 연락처 정보의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Error code Stop 0x000000A5: ACPI_BIOS_ERROR 

[원인]

1. ACPI 바이오스에서 발생 하는 오류다. 운영체제수준에서 조치할 수 있는 오류가 아니다.


2. Windows 2000이 컴퓨터의 BIOS가 고급 구성 및 전원 인터페이스(ACPI)와 완벽하게 호환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면 이 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

1. 표준 PC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HAL)을 수동으로 설치합니다.


2. 컴퓨터를 다시 부팅하여 Windows 2000 설치를 다시 시작합니다. 

3. Windows 2000 설치가 다시 시작되면 "Press F6 if you need to install a third-party SCSI or RAID driver" 화면이 나타날 때 F7을 누릅니다. 

Windows 2000은 ACPI HAL의 설치를 자동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표준 PC HAL을 설치합니다. 또한 컴퓨터 제조업체에 문의하여 ACPI가 완벽하게 호환되는 BIOS를 구해야 합니다. 


 

Error code Stop 0x000000B4: VIDEO_DRIVER_INIT_FAILURE 

[원인]

1.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의 손상 등의 문제로 윈도우가 그래픽모드로 진입 할 수 없는 오류다.

 

[해결]

1. 안전모드로 부팅하여 장치드라이버를 점검하고 이전 드라이버로 복원을 시도해 본다.

 

[참고]

“Stop 0x000000B4” The Video Driver Failed to Initialize

“STOP 0x000000B4” or Black Screen During GUI-Mode Setup on Micron Powerdigm XSU



 



Error code Stop 0x000000BE: ATTEMPTED_WRITE_TO_READONLY_MEMORY 

[원인]

1. 장치 드라이버가 읽기전용으로 지정된 메모리 공간에 쓰기를 시도할 경우 나타난다.


2. 대부분 잘못된 드라이버, 시스템서비스, 펌웨어를 설치한 후 나타난다.

 

[해결]

1. 문제의 원인이 될 만한 요소를 사용중지, 제거, 롤백해 본다.

 

 

Error code Stop 0x000000C1: SPECIAL_POOL_DETECTED_MEMORY_CORRUPTION 

[원인]

1. 장치드라이버 파일이 허락되지 않은 메모리공간(special memory pool)에 데이터를 쓰는 경우 발생하는 오류

 

[해결]

1. 최신버전의 드라이버로 업그레이드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C2: BAD_POOL_CALLER 

[원인]

1. 커널모드 프로그램(프로세스) 또는 장치드라이버 파일이 잘못된 메모리 조작을 수행한 경우 발생한다.


2. 주로 잘   못된 장치 드라이버나 버그있는 응용프로그램 때문에 발생한다.

 

[해결]

http://support.microsoft.com/?kbid=265879&sd=RMVP


 


[참고]

Windows 2000에서 업그레이드할 때 중지 오류 발생: Bad_Pool_Caller 0xC2

Computer with ATI RAGE FURY MAXX Video Adapter Stops Responding After Upgrade to Win XP

 

 

Error code Stop 0x000000C4: DRIVER_VERIFIER_DETECTED_VIOLATION 

[원인]

1. 이 오류는 Driver Verifier 가 찾아낸 치명적결함을 가진 일반 버그체크코드를 보여준다. 몇몇 파리메터들도 함께   보여준다.

 

[해결]

http://support.microsoft.com/?kbid=244617&sd=RMVP


 

 

Error code Stop 0x000000C5: DRIVER_CORRUPTED_EXPOOL 

[원인]

1. 대부분 장치드라이버로 인한 오류다.

 

[해결]

1. 최근에 설치한 장치가 정확히 설치되었는지 점검하고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C6: DRIVER_CAUGHT_MODIFYING_FREED_POOL 

[원인]

1. 장치드라이버 파일이 freed memory pool에 접근을 시도해서 발생하는 오류

 

[해결]

1. 장치 드라이버를 교체한다.

 

[참고]

http://support.microsoft.com/?kbid=244617&sd=RMVP 

 

 

Error code Stop 0x000000C7: TIMER_OR_DPC_INVALID 

[원인]

1. 장치드라이버의 잘못된 동작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오류.

 

[해결]

http://support.microsoft.com/?kbid=244617&sd=RMVP



 


 

Error code Stop 0x000000C9: DRIVER_VERIFIER_IOMANAGER_VIOLATION 

[원인]

1. 제목에서 원인을 추측할 수 있다. 드라이버 Verifier의 I/O매니져가 보여주는 메세지다.

 

[해결]

http://support.microsoft.com/?kbid=244617&sd=RMVP 

 

 

Error code Stop 0x000000CB: DRIVER_LEFT_LOCKED_PAGES_IN_PROCESS 

[원인]

1. 0x00000076 오류메세지 대신 나타날 수 있는 메시지. 블루스크린에 나타나는 드라이버 이름을 주의하여 살펴   봐야 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CE: DRIVER_UNLOADED_WITHOUT_CANCELLING 

[원인]

1. 잘못된 장치드라이버나 시스템 서비스를 설치한 후 발생 할 수 있는 오류다.

 

[해결]

1. 장치의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최근 설치된 시스템 서비스를 중단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D1: DRIVER_IRQL_NOT_LESS_OR_EQUAL 

[원인]

1. 잘못된 장치드라이버를 설치한 후 나타날 수 있는 에러이다.


2. 호환되지 않거나 손상된 램, 잘못된 가상메모리로  인해 발생 하기도 한다.

 

[해결]

1.드라이버 롤백기능이나 시스템 복원을 이용해서 이전 드라이버나 윈도우 상태로 복구한다.

2.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 백업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DVD 관련 프로그램 등을 제거해 본다.

3. RAM 문제나 손상된 가상 메모리 관리자에 대한 오류 메시지

 

[참고]

Windows XP 기반 컴퓨터를 시작하면 "STOP:0xD1" 오류 메시지 발생

컴퓨터를 끄면 Stop 0x000000D1이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컴퓨터를 종료하려고 하면 "STOP 0x000000D1"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WRQ AtGuard Program Causes Error Message in Win XP

 

 

Error code Stop 0x000000D8: DRIVER_USED_EXCESSIVE_PTES 

[원인]

1.주로 PTEs(page table entries)-시스템의 입출력수행의 과도현상 PTEs (메모리 공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 발생 할 수 있는 에러이다.

2.응용프로그램들이 요구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메모리블록이 부족    한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이다.

3.장치드라이버가 과도한 양의 커널메모리를 요청할 때 나타난다.

 

[해결]

1. 응용프로그램의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해본다.

2. 윈도우XP는 PTEs 수를 늘리기 위해 registry entry, system pages를 제공한다 



 


※ PTEs를 늘리기 위한 방법

1. 시작 → 실행 → 열기 → regedit 확인을 눌러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2.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Session Manager → Memory Management 에서 pagefoolsize의 값:0, systempages의 값 중 128M 메모리 값: 40000, 256M 메모리 값: 110000으로 변경


 

  

Error code Stop 0x000000E3: RESOURCE_NOT_OWNED 

[원인]

1. NTFS 파일시스템 드라이버의 잘못된 동작에 기인한 오류다.

 

[해결]

1. 최신버전의 서비스팩을 설치해야 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EA: THREAD_STUCK_IN_DEVICE_DRIVER 

[원인]

1. 일반적으로 주로 비디오 어댑터에 문제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오류이다. 특히 드라이버를 (비디오 드라이버)를   새로 설치한 후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드라이버가 잘못 잡히거나 못 잡을 때 나타나는 에러이다.

 

[해결]

1. 최신 드라이버로 업데이트 하거나 하드웨어 제품 출시 시기에 맞는 드라이브로 재설치 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ED: UNMOUNTABLE_BOOT_VOLUME 

[원인]

1. 최신 사양의 ATA 하드디스크에 잘못된 케이블을 장착한 시스템에서 윈도우 업그레이드 시볼 수 있는 오류다.


2. 컴퓨터에서 Ultra Direct Memory Access(UDMA) 컨트롤러를 사용 중인 경우 

3. UDMA 드라이브를 컨트롤러에 연결할 때 필요한 80배선 40핀 케이블 대신 표준 40배선 커넥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4. 더 빠른 UDMA 모드를 강제하도록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을 설정한 경우 

5. 간혹 정상적인 시스템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해결]

1. 40배선 케이블을 80배선 UDMA 케이블로 바꾸십시오. 

 

[참고]

이것은 의도적으로 설계된 동작입니다.

이러한 동작은 더 빠른 UDMA 모드에 적절하지 않은 IDE 케이블을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Error code Stop 0x000000F2: HARDWARE_INTERRUPT_STORM

[원인]

1. 인터럽트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메시지이다.

 

[해결]

1. 같은 IRQ를 쓰는 장치를 삭제하고 장치를 다시 잡는다.

  

 

Error code Stop 0x000000F3: DISORDERLY_SHUTDOWN 

[원인]

1.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종료 실패 오류다.

 

[해결]

1.가상메모리 양을 충분히 늘려본다.

2.너무 많은 양의 메모리나 가상메모리를 요구하거나 종료를 거부하는 프로그램    혹은 드라이버를 찾아본다.

 

 

Error code Stop 0x000000F4: CRITICAL_OBJECT_TERMINATION 

[원인]

1. 윈도우 핵심 프로세서 중 하나가 종료되어 나타나는 오류다. 그 결과로 윈도우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

 

[해결]

1. 이벤트뷰어에서 원인이 될 만한 사항을 조사한다.

 

 

Error code Stop 0x000000FC: ATTEMPTED_EXECUTE_OF_NOEXECUTE_MEMORY 

[원인]

1. Mpegport.sys 드라이버가 설치된 상태에서 Windows XP 서비스 팩 2를 설치하면 시스템이 반복적으로 다시 시작된다

 

[해결]

1. 안전모드에서 SP2를 제거하거나 OS를 다시 설치한다


 


 

Error code Stop 0x1000007E: SYSTEM_THREAD_EXCEPTION_NOT_HANDLED 

[원인]

1. 0x0000007E 와 본질적으로 같은 오류다.

  

 

Error code Stop 0x1000008E: KERNEL_MODE_EXCEPTION_NOT_HANDLED 

[원인]

1. 0x0000008E 와 동일한 오류다.

 


 

Error code Stop 0xC000009A: STATUS_INSUFFICIENT_RESOURCES 

[원인]

1. 윈도우 커널의 메모리 사용과 관련된 오류다.

 

[해결]

1. 메모리가 사용 가능한데도 NT가 리소스 부족 오류를 보고한다

 


 


Error code Stop 0xC0000135: UNABLE TO LOCATE DLL 

[원인]

1. 윈도우가 DLL 파일을 로드하는데 실패한 상태를 의미하는 오류다.


2. 파일의 손상이나 제거, 레지스트리가 관련된   문제일 수 있다.

 

[해결]

1.DEPENDENCY WALKER로 손상되거나 사라진 모듈을 찾아본다.

2.레지스트리 복구나 시스템복원을 시도한다.

 

[참고]

시작 시 블루 스크린 중지 메시지 C0000135가 나타난다

Windows XP에서 손상된 레지스트리 복구

 

 

Error code Stop 0xC0000142: DLL Initialization Failure 

[원인]

1. 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초기화에 실패한 경우 발생한다. 오류의 원인이 되는 모듈의 추적이 가능하다.

 

[해결]

1. DEPENDENCY WALKER로 손상되거나 사라진 모듈을 찾아본다

 

[참고]

Windows XP에서 Easy CD Creator를 실행하면 오류 메시지 발생

STOP 0xC0000142 in User32.dll Occurs on Restart or Upgrade of Windows NT 4.0

STOP: 0xC0000142 User32.dll Message on Restart After Upgrade to Windows NT 4.0

Users Are Automatically Logged Off When Attempting to Log on to Terminal Services

 

 

Error code Stop 0xC0000218: UNKNOWN_HARD_ERROR 

[원인]

1. 레지스트리에 설정된 중요파일의 로딩에 실패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다.


2. 하드디스크의 손상 또는 관련 하드웨어   의 손상이 원인이 될 수 있다.


3. 레지스트리 데이터가 메모리로 로딩되는 동안 디스크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메모리에 패리티 오류가 발생한 오류일 가능성도 있다.

 

[해결]

1. 시스템에 누전이 심하면 발생 할 수 있다. 접지해 본다.

2. 오래된 메인보드에서 간혹 볼 수 있다.

3. 하드디스크 손상 또는 케이블을 점검한다.

4. 메모리의 결함을 점검한다.

 

[참고]

http://support.microsoft.com/?kbid=314874&sd=RMVP


 

 

Error code Stop 0xC000021A: STATUS_SYSTEM_PROCESS_TERMINATED 

[원인]

1.윈도우 커널모드의 주요기능(Winlogon 또는 Client Server Runtime Subsystem(CSRSS))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되어 발생하는 오류다. 위의  주요기능이 실행되지 않으면 윈도우는 정상기능이 불가능해진다.

2. 관리자 계정에서 사용자의 폴더 및 파일 접근권한을 변경한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해결]

1. Internet Explorer 6의 최신 서비스 팩을 구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328548 (http://support.microsoft.com/kb/328548/) Internet Explorer 6용 최신 서비스 팩을 구하는 방법

2. Windows XP용 최신 서비스 팩을 구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322389 (http://support.microsoft.com/kb/322389/) 최신 Windows XP 서비스 팩을 구하는 방법

 

 

Error code Stop 0xC0000221: STATUS_IMAGE_CHECKSUM_MISMATCH 

[원인]

1. 잘못된 장치드라이버, 손상된 시스템 파일, 디스크 오류, 메모리결함 등의 이유로 발생 할 수 있다.


[해결]

1. 플로피 디스크

WINNT32 /OX 명령(Windows NT)이나 WINNT /OX 명령(MS-DOS)을 사용하여 새로운 Windows NT 설치 플로피 디스크 세트를 만듭니다.


※ Winnt32.exe 및 Winnt.exe 파일은 Windows NT 4.0 CD-ROM의 I386 폴더에 있습니다. 


2. 하드 디스크

응급 복구 디스크를 사용하여 다음 Microsoft 기술 자료 문서에 나와 있는 절차에 따라 NTFS 파티션에서 없어졌거나 손상된 드라이버 파일을 대체합니다. 



 


[참고]

Error Message: STOP: C0000221 Unknown Hard Error or STOP: C0000221 

Err Msg: STOP: C000026C 장치 드라이버를 로드할 수 없음

"중지: C0000221 알 수 없는 하드 오류" 또는 "중지: C0000221 " 오류 메시지 발생

 

 

Error code Stop 0xC0000244 

[원인]

1. CrashOnAuditFail이 실행되면서 정책 변동을 할 때 Stop 0xc0000244 에러가 발생.



[해결]

1. Windows XP용 최신 서비스 팩을 구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322389 (http://support.microsoft.com/kb/322389/) 최신 Windows XP 서비스 팩을 구하는 방법


 

Error code Stop 0xC000026C 


[원인]

1. 장치 드라이버와 관련된 문제다.

Err Msg: STOP: C000026C 장치 드라이버를 로드할 수 없음.


 

[해결]

1. 장치 드라이버를 하드웨어가 출시된 시점에 맞는 버전으로 설치한다.

 


Error code Stop 0xDEADDEAD: MANUALLY_INITIATED_CRASH1

[원인]

1. 사용자가 커널디버거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재현한 블루스크린.


[Windows XP 블루 스크린 에러코드 정보(XP 에러)]

 

아스키코드표(ASCII Code)

IT 정보/Computer | 2013. 8. 19. 10:43
Posted by zephiros8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nmxW48spzsRKbv7Bf6KFDUsg28Qyzyif_MDHvUFqrGA,

[아스키코드표(ASCII Code)]

아스키 코드란?

  아스키(ASCII) 또는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는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 인코딩이다. 아스키는 컴퓨터와 통신 장비를 비롯한 문자를 사용하는 많은 장치에서 사용되며, 대부분의 문자 인코딩이 아스키에 기반한다.

  아스키는 1967년에 표준으로 제정되어 1986년에 마지막으로 개정되었다. 아스키는 7비트 인코딩으로, 33개의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을 비롯한 95개의 출력 가능한 문자들로 이루어진다. 제어 문자들은 역사적인 이유로 남아 있으며 대부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출력 가능한 문자들은 52개의 영문 알파벳 대소문자와, 10개의 숫자, 32개의 특수 문자, 그리고 하나의 공백 문자로 이루어진다.

  아스키가 널리 사용되면서 다양한 아스키 기반의 확장 인코딩들이 등장했으며, 이들을 묶어서 아스키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7비트 인코딩을 유지한 ISO/IEC 646과, 원래 아스키 코드 앞에 비트 0을 넣어 8비트 인코딩을 만든 IBM 코드 페이지와 ISO 8859가 있다. 이 인코딩들은 언어군에 따라 같은 숫자에 서로 다른 문자가 배당된 경우가 많다.

 (출처 :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아스키 코드표]

 2진수____10진수_8진수_16진수_문자_설명

0000 0000   000   000     00  NUL NULL 문자
0000 0001   001   001     01  SOH 헤더 시작(Start Of Header)
0000 0010   002   002     02  STX 본문 시작, 헤더 종료(Start of TeXt)
0000 0011   003   003     03  ETX 본문 종료(End of TeXt)
0000 0100   004   004     04  EOT 전송 종료, 데이터 링크 초기화(End Of Transmission)
0000 0101   005   005     05  ENQ 응답 요구(ENQuiry)
0000 0110   006   006     06  ACK 긍정응답(ACKnowledge)
0000 0111   007   007     07  BEL 경고음(BELl)
0000 1000   008   010     08  BS  박스페이스(BackSpace)
0000 1001   009   011     09  HT  수평 탭(Horizontal Tab)
0000 1010   010   012     0A  LF  개행(Line Feed)
0000 1011   011   013     0B  VT  수직 탭(Vertical Tab)
0000 1100   012   014     0C  FF  다음 페이지(Form Feed)
0000 1101   013   015     0D  CR  복귀(Carriage Return)
0000 1110   014   016     0E  SO  확장문자 시작(Shift Out)

0000 1111   015   017     0F  SI  확장문자 종료(Shift In)
0001 0000   016   020     10  DLE 전송제어 확장(Data Link Escape)
0001 0001   017   021     11  DC1 장치 제어(Device Control 1)

0001 0010   018   022     12  DC2 장치 제어(Device Control 2)
0001 0011   019   023     13  DC3 장치 제어(Device Control 3)

0001 0100   020   024     14  DC4 장치 제어(Device Control 4)
0001 0101   021   025     15  NAK 부정응답(Negative AcKnowledge)
0001 0110   022   026     16  SYN 동기(SYNnchronous idle)
0001 0111   023   027     17  ETB 전송블록 종료(End of Transmission Block)
0001 1000   024   030     18  CAN 개무시(CANcel)
0001 1001   025   031     19  EM  매체 종료(End of Medium)
0001 1010   026   032     1A  SUB 치환(SUBstitute)
0001 1011   027   033     1B  ESC 제어기능 추가(ESCape)
0001 1100   028   034     1C  FS  파일경계 할당(File Seperator)
0001 1101   029   035     1D  GS  레코드 그룹경계 할당(Group Seperator)
0001 1110   030   036     1E  RS  레코드경계 할당(Record Seperator)
0001 1111   031   037     1F  US  장치경계 할당(Unit Seperator)
0010 0000   032   040     20  SPC 스페이스(SPaCe)
0010 0001   033   041     21  !
0010 0010   034   042     22  "
0010 0011   035   043     23  #
0010 0100   036   044     24  $
0010 0101   037   045     25  %
0010 0110   038   046     26  &
0010 0111   039   047     27  '
0010 1000   040   050     28  (
0010 1001   041   051     29  )
0010 1010   042   052     2A  *
0010 1011   043   053     2B  +
0010 1100   044   054     2C  ,
0010 1101   045   055     2D  -
0010 1110   046   056     2E  .
0010 1111   047   057     2F  /
0011 0000   048   060     30  0
0011 0001   049   061     31  1
0011 0010   050   062     32  2
0011 0011   051   063     33  3
0011 0100   052   064     34  4
0011 0101   053   065     35  5
0011 0110   054   066     36  6
0011 0111   055   067     37  7
0011 1000   056   070     38  8
0011 1001   057   071     39  9
0011 1010   058   072     3A  :
0011 1011   059   073     3B  ;
0011 1100   060   074     3C  <
0011 1101   061   075     3D  =
0011 1110   062   076     3E  >
0011 1111   063   077     3F  ?
0100 0000   064   100     40  @
0100 0001   065   101     41  A
0100 0010   066   102     42  B
0100 0011   067   103     43  C
0100 0100   068   104     44  D
0100 0101   069   105     45  E
0100 0110   070   106     46  F
0100 0111   071   107     47  G
0100 1000   072   110     48  H
0100 1001   073   111     49  I
0100 1010   074   112     4A  J
0100 1011   075   113     4B  K
0100 1100   076   114     4C  L
0100 1101   077   115     4D  M
0100 1110   078   116     4E  N
0100 1111   079   117     4F  O
0101 0000   080   120     50  P
0101 0001   081   121     51  Q
0101 0010   082   122     52  R
0101 0011   083   123     53  S
0101 0100   084   124     54  T
0101 0101   085   125     55  U
0101 0110   086   126     56  V
0101 0111   087   127     57  W
0101 1000   088   130     58  X
0101 1001   089   131     59  Y
0101 1010   090   132     5A  Z
0101 1011   091   133     5B  [
0101 1100   092   134     5C  \
0101 1101   093   135     5D  ]
0101 1110   094   136     5E  ^

0101 1111   095   137     5F  _
0110 0000   096   140     60  `
0110 0001   097   141     61  a
0110 0010   098   142     62  b
0110 0011   099   143     63  c
0110 0100   100   144     64  d
0110 0101   101   145     65  e
0110 0110   102   146     66  f
0110 0111   103   147     67  g
0110 1000   104   150     68  h
0110 1001   105   151     69  i
0110 1010   106   152     6A  j
0110 1011   107   153     6B  k
0110 1100   108   154     6C  l
0110 1101   109   155     6D  m
0110 1110   110   156     6E  n
0110 1111   111   157     6F  o

0111 0000   112   160     70  p
0111 0001   113   161     71  q
0111 0010   114   162     72  r
0111 0011   115   163     73  s
0111 0100   116   164     74  t
0111 0101   117   165     75  u
0111 0110   118   166     76  v
0111 0111   119   167     77  w
0111 1000   120   170     78  x
0111 1001   121   171     79  y
0111 1010   122   172     7A  z
0111 1011   123   173     7B  {
0111 1100   124   174     7C  |
0111 1101   125   175     7D  }
0111 1110   126   176     7E  ~
0111 1111   127   177     7F  DEL 삭제(DELete)

[아스키코드표(ASCII Code)]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secondpage.co.kr 삭제하기(세컨드페이지 삭제하기) 

 Fixpid 나 고클린 으로 삭제 하려해도 안되고

이것저것 해보다 안되서 검색으로 겨우 방법을 찾았네요 ;;

인터넷 Internet Explorer 를 실행 시키면

이렇게 다른 탭에

자주방문하는 사이트 라고 탭이 하나 더 생기더라구요.

기존 탭에서 다른 페이지 이동도 안되고;;

 

삭제 방법은 우측 하단의 '홈으로' 를 클릭하던지

http://secondpage.co.kr/home/index.html

여기로 들어가면

우측 하단 활용TIP 부분의 '프로그램 삭제하기'를 눌러

파일을 실행 시키면 됩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삭제가 되는데 그동안 방법 찾느라 이것저것;;

고생한걸 생각하면 ㅠㅠ

 

각종 파일 다운 받을 때 그토록 조심했건만

언제 어떤 경로로 설치가 된건지 ;;

 
블로그 이미지

zephiros83

카테고리

전체보기 (45)
IT 정보 (21)
Computer (14)
Mobile (7)
GAME (11)
맛집 (0)
여행 (1)
상식 (2)
건강 (2)
기사 및 검색어 (5)
초고속인터넷 (1)
에어컨이전설치 (2)